Study 117

네이밍의 문제

제품이든, 어플이든 서비스든 무엇을 기획하고 만들든 중요한 것은 그것의 이름을 짓는 것이다. 그리고 부수적으로 관련된 서브 메뉴들이나 기능들이 있다면 그것에 역시 이름을 지어주어야 할 것이다. 그때 중요한 것은 특이하고 예쁜 이름도 좋고,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단어들의 합성도 좋지만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는 단순함과 1차원적인 의미를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유사한 개념을 차용해다 쓰는 메타포적인 네이밍은 한 번 더 생각해보고 그 뜻을 유추해낼 수 있겠지만 그것이 '와우'한 깨달음을 주지 않는다면 굳이 한 번 더 꼬아서 이름을 지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사용자는 그 제품이든 서비스든 기능이든 쓰기 시작한다면 크게 그 네이밍에 의존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초기에 사용자의 시선을 사로..

Study 2010.04.20

익숙한(?) 불편함의 부재

화장품 냉장고 겸 음료수를 넣어두는 미니 냉장고가 있다. 작년에 구입하여 1년째 사용하고 있다. 그동안 냉동 부위(?)의 성에가 쌓이고 쌓여 지층을 이루더니 결국 냉장고 문을 밀어내는 사태에 이르게 되었다. 냉장고 문의 고무(?)라고 해야 할까 파킹된 부분이 있어 다행(?)히 힘을 주어 닫으면 문이 닫히긴 하지만 문을 한 번 밀어주는 스윙(swing) 동작에는 끝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언젠가 냉장고 안의 물건들을 모두 꺼내고 이 성에(? 라기엔 너무 큰 얼음덩어리)들을 녹이거나 부수거나 해서 제거해야 겠다~ 라는 생각을 이미 몇개월 전부터 하고 있었지만 결국 실행에 옮긴 것은 지난 주말 미니 냉장고이니 그 안에 들어갈 수 있는 물건이 얼마나 되겠는가 꾸역꾸역 넣어놓은 물건들을 모조리..

Study 2010.03.30

모바일 웹디자인: 팁과 베스트 사례

모바일 웹 디자인: 팁과 베스트 사례 (대충 해석한 것이라 엉망진창임. 이해되는 대로 써놨으니 필요하면 원문을 살피시길 바람 ㅋ) 1. 가능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랑 친해지기 - 셀폰과 모바일 디바이스 플랫폼들은 OS, 스크린 사이즈, 해상도, 각각의 인터페이스들로 매우 다양하다. 사이트를 최적화시키고 싶은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려면 서로 다른 옵션으로 친숙해지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사용자(타겟 유저)의 연령이나 특성에 따라 모바일 플랫폼을 선택해야 한다(그래프를 참고할 것 ). (사이트 방문자가 비즈니스 유저라면 주로 윈모바일이나 블랙베리 디바이스에 최적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고, 좀더 젊고 트렌드를 쫓는 유저라면 주로아이폰 이나 안드로이드 디바이스에 최적화 할 것이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Study 2010.03.15

오늘의 영작 문장 5개

1. 그는 배고플 리가 없다. 그는 방금 점심을 먹었으니까. -> He can't be hungry because he'd eaten lunch just right now. ->He cannot be hungry; he has just had lunch. (방금 무엇을 마친 것은 have just p.p로 표현) 2. 그는 중국어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그것을 쓸 수 는 없다. -> He can speak Chinese but he can't write it. -> He can speak Chinese.// But he can't write it. 3. 나는 거의 내 눈을 믿을 수 없었다. (hardly) -> I could hardly believe my eyes. -> I could hardl..

Study 2010.01.25

영어 공부 하기

신랑 오빠랑 집에서 영어 공부하기 교재: 동거동락 English: 네이티브와 살면서 알게 된 진짜 영어 출판사: 뉴런(newrun) 저자: 전윤희,제이슨 머리아독 퍼거슨 공저 도서관에서 잠깐 빌려서 훑어 보았는데, 구성도 좋고 표현도 어렵지 않은 데다가 예문들이 입에 착착 붙어서 공부해 볼만 하다. 어제 Yes24에서 구입했는데, 왜 아직 안 오지...(오전에 주문하면 6시 전에 보내준다면서.. 뭐야...) 공부 계획~~ 총 202개의 표현 1. 하루에 20개의 표현을 듣고 1번 듣고 받아쓰기 한다. 2번 듣고 부족한 부분 채운다. 3번 듣고 나머지 부분 채운다. ..n번 듣고 문장을 채울 수 있는 부분까지 모두 채운다. 2. 표현이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 유추한다. 3. 사전을 찾아서 철자와 뜻을 확인한..

Study 2010.01.14